본문 바로가기

유아 임용

[놀이 아이디어] 제시된 매체를 보고 놀이가 떠오르지 않을때_ 유아임용 2차 수업실연 꿀팁 (매체별 놀이 아이디어)

보자기 신문지 박스 페트병 종이 젓가락 등

여러가지 매채마다 놀이 아이디어를 알아두면 좋아요.

 

그런데 어떤 매체를 보았을때

놀이 아이디어가 전혀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죠?

그 때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.

<매체를 보고 놀이가 떠오르지 않을 때>

 

1. 제시된 매체의 재질을 생각해보세요.

예를 들어 '종이' 일 때,

머메이드지처럼 빳빳한지, 한지처럼 얇아서 찢을 수 있는지, 골판지처럼 돌돌 말리는지,

두께가 얇아서 비치는지, 두꺼운 종이여서 푹신한지, 

재질을 떠올리면 할 수 있는 놀이가 떠오릅니다. 

 

그래도 생각이 안난다면

2. 오감으로 탐색하는 놀이를 시작해보세요.

시각(눈) 청각(귀) 후각(코) 미각(입) 촉각(손)

오감에 대해 순차적으로 발문하는거죠.

 

예를 들어, 

얘들아 앞에 있는 이 종이를 만지지 않고 눈으로만 봐봐~

만약에 만졌을때 어떤 느낌일 것 같아? (시각과 촉감)

이번엔 직접 만져볼까? 어때?

눈으로 보기만 했을 때랑 직접 만져볼 때랑 다르니?

어떤 점이 달라?

이 종이를 비벼볼까? 어떤 소리가 들리니? (청각)

이런 식으로요.

 

(조금 더 나아가서 유아가 먼저 관심을 가진 것으로 시작 할수도 있어요.)

어? 별별이가 만지고 있는게 뭐에요?

아~ 노란색깔, 반짝거리는 종이라구요?

별별아 달달이도 보여달라는데요?

달달이는 종이 냄새를 맡아보고 있네요? 

어머 꼬리꼬릿한 냄새가 난다고요? 선생님도 한번 맡아볼게요.

ㅋㅋㅋㅋㅋㅋㅋ이런식으로요ㅋㅋㅋㅋㅋㅋ

그리고 놀이도 아이들이 제시한것으로 이어갈 수 있어요.

 

마지막으로 

3. 매체의 활용 범위를 생각해보세요.

그 자체로 놀이 가능한지, 

매체끼리 연결해서 놀이할 수 있는지,

교실 전체에서 놀이 하도록 확장할 수 있는지,

혼자 놀이할 수 있는 매체인지,

타인에게 놀이 할 수 있는지,

 

예를 들어

보자기의 경우 한장으로 놀이 할 수 있지만,

보자기끼리 서로 묶어서 크게 만들수 있고,

혼자 목에 두르고 슈퍼맨 놀이를 할 수 있지만,

타인의 목에 걸어서 미용실 놀이로 확장할수 있죠.

한장으로 놀이하더라도 천의 꼭지점을 잡으면 둘이서 놀이 할수 있는것 처럼 말이에요.